- 험난하다. 해킨토시 발들이기. 가능한지부터 확인해보자.

아… 지금 이 글을 해킨토시에서 쓰고 있지만… 애증이 교차한다는게 이런거 같다. 게임용으로 맞춰둔 PC가 있고, 해야 할 게임도 있지만 (발할라!!) 계속해서 요 녀석을 켜서 이것저것 만지작 거리면 시간이 후딱 가버려있다.
여튼, 윈도우 머신에서 맥오에스 머신으로 바꿔주기 위해서는 이 녀석을 좀 더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.
가장 첫번째 관문은 CPU 종류. 설치 과정에서 나오지만, CPU 종류별로 워낙 다양한 대응을 해줘야 하는지라, 내 CPU가 어떤 종류이고, 이게 언제 나온 거고 등등을 알고 있으면 좋다. Alienware Alpha R2의 경우 i5-6400T로 6세대 Skylake 시리즈. 16~18년 사이에 나온 맥 들이 이 6세대를 주로 쓰고 있다. 보면 Kaby Lake까지는 그럭저럭 설정 같은게 호환 되는 듯.
두번째는 GPU. 첫 번째 난관이다. Alienware Alpha R2에 들어가는 GPU는 2종류인데, 제일 저가형이 들어가는게 i3 CPU에 AMD R9 M480x 였던가 그렇고, i5와 i7에는 GeForce GTX 960이 들어간다. 이게 윈도우를 돌릴때는 장점인데, 맥은 정 반대다. Nvidia 그래픽 카드의 공식 지원은 macOS High Sierra(10.13)를 마지막으로 끊긴 상태로, 이후에 Mojave, Catalina에 최근 Big Sur까지 나온 마당에 3년 전 OS를 써야 하는 셈. 뭐 아직까지 보안패치 등등은 종종 있긴 한 모양이고, 여기까지는 대응을 해주는 것 같은데… 이제 언제 지원이 끊길지 모르는 상황이라는게 아쉬운 부분. AMD 그래픽카드는 최신 카드들도 어지간하면 Native 지원이 가능하다(고한다.)
한 가지 더 안타까운 점은 무선랜. 오리지널 맥에 들어가는 무선랜은 브로드컴 칩셋인데, 이 외의 무선랜 카드들은 한 방에 지원이 (잘) 안된다. 뭐 이건 귀찮음의 문제이니 넘어가고…
혹시 모르니 USB 메모리 8GB 이상되는 녀석과 더불어서, USB 키보드/마우스도 한 벌씩 있으면 좋겠다. 로지텍 유니파잉이야 어지간하면 될 것 같긴 한데 확인을 안해봐서 뭐라 말하기가 좀…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, 설치 가능한 사양과 아닌 사양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다.
https://dortania.github.io/Anti-Hackintosh-Buyers-Guide/
- 본격적인 설치 준비
이제 설치가 된다는 희망까지는 찾았으니, 실행에 옮기는 방법을 알아보자.
[macOS 구동 PC가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. Windows PC밖에 없으신 경우엔… ]
- gibmacOS 를 다운 받아서 압축을 풉니다
- gibmacos.command를 실행합니다.

- 설치하고자 하는 OS 버전을 찾아서 번호를 누릅니다.
본인의 경우 GPU 지원을 위해 12번 High Sierra를 선택했습니다. - 다운로드가 되기를 기다립니다. 설치 이미지 전체를 받기 때문에 시간이 꽤 걸립니다.
- 설치가 다 되면 buildmacosinstallapp.command를 실행합니다.
- 설치 이미지 다운 받은 경로를 복붙하거나 해당 폴더를 드래그&드롭 해줍니다.
(보통 gibmacOS 폴더 안에 ‘macOS Downloads > publicrelease > XXX-XXXX …. High Sierra (또는 Mojave, Catalina 등등) 의 폴더가 있습니다.) - 뭔가 작업이 끝나면, 설치 파일 폴더 내에 ‘macOS High Sierra (또는 Mojave, Catalina) 설치하기’ 앱이 새로 생겨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파일을 응용프로그램 폴더에 복사합니다.
- 8GB 이상의 비어있는 USB를 넣고, USB를 다음의 설정으로 포맷해줍니다.
– 이름 : MyVolume
– 형태 : 확장된 Mac OS (저널링)
– 방식 : GUID 파티션 맵 - 터미널을 열고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sudo /Applications/Install\ macOS\ Catalina.app/Contents/Resources/createinstallmedia --volume
/Volume/MyVolume
자, 그러면 한참 후에 완성된 설치 미디어가 생기게 됩니다. 이 상태에서 디스크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‘보기’버튼을 눌러 기기 목록을 보면, USB 디스크 아래에 두 개의 Volume이 생긴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Install … 어쩌구… 와 EFI)
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OpenCore를 설정할 시간입니다.
….는 다음편에…